-
오늘부터 나는 브랜드가 되기로 했다.Growth Marketing 2021. 9. 24. 15:54
사회로 나아가는 길목에서 '만만하지 않은 사람', '멋진 사람'이 되고자는 다짐을 하는 시점에 만나게 된 책.
<오늘부터 나는 브랜드가 되기로 했다>
이 책은 성공적인 브랜딩 전략 사례를 보여주며 퍼스널 브랜딩을 위한 가이드를 제공한다.
스무가지의 브랜드 스토리를 통해 마케터로서 궁극적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성에 대해 생각해보게 되었고,
더 나아가 앞으로 마주할 이해관계자들에게 어떤 모습으로 보여지고 싶은지, 나를 어떻게 브랜딩해갈 것인지 처음으로 고민하는 시간이었다.
대학교를 막 졸업하여, 전공 외의 분야로 진출하고자 마음먹은 터라 나의 정체성을 정립하는 것이 시급한 시점에 두 개의 브랜드의 사례가 인상깊게 다가왔다. '아마존'과 '브런치'이다.
#1 아마존
아마존은 1994년 온라인 서점으로 시작되어, 오늘날 세상의 모든 것을 파는 대규모 온라인 쇼핑몰을 넘어서 음성인식 플랫폼(알렉사), OTT서비스(아마존 프라임), 드론 배송 등 끊임 없이 혁신하는 기업이며, 더 나아가 우주 개발까지 바라보고 있는 가히 '맥시멀 브랜드'라 일컬을 수 있다.
이렇게 경계없이 모든 방면에서 사업을 확장해나가는 아마존이 지속가능한 이유는 변하지 않는 가치에 주목하기 때문이다. 아마존의 CEO인 베조스의 경영 철학에서도 이것이 잘 비춰진다. 낮은 가격, 최상의 선택, 빠르고 편리한 배송. 이 세가지는 10년 후에도 고객이 추구할 변하지 않을 가치이며, 아마존은 이 세가지를 강화하는 데 필요한 투자를 과감하게 진행한다. 너무나 다양한 서비스와 상품들을 관통하는 몇가지의 중심 가치를 발굴하고 지속적으로 투자할 수 있는 안목과 지혜 그리고 뚝심을 본 받고 싶어 아마존에 대한 글을 쓰게 되었다.
2년전 아마존 프라임 고객으로서 굉장히 좋은 경험을 가지고 있어 기업에 대한 개인적 호감을 갖고 있다.
그 이유를 5가지로 나열하여 보았다. 5가지의 강점에서도 아마존의 3가지 가치가 묻어나온다.
1) 하나의 계정으로 다양한 서비스의 연계
아마존은 쇼핑몰 뿐만 아니라, 클라우드 서비스, 전자책, 오디오북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아마존 쇼핑몰 계정이 있다면, 그 계정으로 아마존과 연계된 다양한 서비스로 연결 될 수 있다. 개인적으로 정말 잘 사용했던 서비스는 'Audible' 오디오북 서비스였다. 아마존의 계정 하나로 쉽게 다른 서비스로 연계되니, 이런저런 서비스들로의 접속이 많아질 수 밖에 없었다. 접속이 많아지면 그만큼 구매전환율도 높아질 것이다.
2) 유료회원에게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
'아마존 프라임'은 쿠팡의 와우회원과 비슷한 서비스이다. 일정 비용을 지불하면 모든 상품을 무료로 배송한다. '와우회원'과 확연히 차별되는 지점은, 온라인 쇼핑몰 이상의 서비스를 함께 제공한다는 것이다. OTT서비스인 '프라임 비디오'와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프라임 뮤직'을 이용할 수 있다. 하나의 서비스를 위해 지불했더니, 몇가지 서비스를 덤으로 제공하니, 이것은 합리적인 것을 넘어서 "혜자롭다"는 느낌을 주고, 회원에게 큰 만족감을 준다.
3) 풍성한 선택지
아마존의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눈에 띄는 키워드는 "a Huge Selection"이다. 아마존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쇼핑서비스, OTT, 오디오북, 전자책 등 모든 서비스에 해당된다. 그 어떤 서비스이든 넓은 선택의 폭이 있는 아마존에서 소비자는 이곳에서 최선의 선택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확신을 하게 된다.
4) 서비스 이용자에게 부담을 주지 않음
아마존에서 실수로 이탈리아어로 된 책을 구입했다. 읽을 수가 없으니 환불하려 했는데 왠걸, 그냥 그 책을 가지라는 것이다. Refund without Return 이라는 아마존 만의 환불정책이었다. 아마존은 해외구매자가 환불할 경우에 반품배송비를 제공해준다. 만약 환불하고자 하는 상품이 반품배송비보다 적으면 그냥 환불을 해주면서, 제품은 반품하지 않도록 한다. 반품배송비 지원 부터 Refund without Return 까지, 이런 아마존의 정책들은 해외에 있는 소비자로 하여금 아마존을 이용하는 것에 대한 진입장벽을 낮춘다.
5) 서비스를 해지하는 회원에게 다시한번 재고의 기회를 제공
아마존의 서비스를 많이 이용했고, 그만큼 많이 서비스 해지를 하였다. 아마존 프라임 서비스 해지의 경우를 사례로 들면, 마비막 멤버쉽 해지의 창에 5가지의 버튼이 나온다. [Remind Me Later], [Keep My Membership], [Pause on 특정날짜], [End on 이번달], [End Now]. 서비스 해지를 원하는 회원이 처음 해지과정을 밟을 때는 맨 마지막 [End Now]를 고려하고 들어왔을 것이다. 그런데 아마존은 해지가 아닌 다른 네가지의 옵션을 제시하며 해지를 다시한번 생각해 보게한다. 이렇게 멤버쉽 해지의 과정에서도 기회를 놓치지 않는 아마존은 전략은 정말 신박했다.
지금까지 아마존이 잘하고 있는 5가지를 살펴보았다.
그렇다면 못하고 있는 5가지도 함께 생각해 보았다. (그러나 나무위키를 곁들인..)
1) 상당한 직배송 요금
2) 쿠팡에 비해 느린 배송
3) 허술한 보안과 도용 위험 (아이디, 비번, 카드 번호, 유효기간만으로 결제가 되는 시스템)
4) 포장이 허접
5) 가끔 아마존의 실수나 내부사정으로 주문이 일방적으로 취소되거나 분실, 오배송되는 경우가 있음
나무위키를 참고한 5개의 단점 중에서 2개를 경험하였다.
공식 서비스가 운영되지 않는 한국에서 상품을 배송받으려니, 직배송 요금이 상당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구할 수 없던 물건이었기에 그만한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었다. (단점을 커버할 수 밖에 없는 최대 강점 a Huge Selection). 그리고 보완이 허술한 것은 맞다. 한국의 경우 전자 결제 할 때에 많은 보안검사를 통과해야 하지만, 아마존은 다른 해외 전자결제의 방식처럼 카드 정보와 계정 정보 만으로 진행할 수 있다. 결제가 쉽지만, 도용의 위험이 크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다.
내가 생각하는 '마케터' / 그리고 그로스마케팅수업을 들으며 얻고자 하는 목표
내가 생각하는 마케터는 고객과 잠재고객에게 서비스/상품의 강점을 설득하고, 이 서비스/상품이 당신에게 필요하다는 것을 효율적으로 어필하는 전략을 세우고 실행해가는 역할이라고 생각한다. 전략을 세우기 위해 시장조사와 소비자의 심리를 파악하는 과정이 수반될 것이고, 누구에게 어떤 방식으로 메세지를 전달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지 분석하는 것도 마케팅 전략 수립에 핵심적인 내용일 것이다.
인터넷으로 판매자와 소비자가 물건을 매개로 만나서 온라인으로 재화와 화폐가 거래되는 전 과정이 정보로 남는 시대가 도래했다. 이 모든 데이터들은 잠재적인 자산이며, 그것을 유의미하게 분석해 낼 때에 가장 이윤을 가장 많이 남기는 가장 효율적인 마케팅 전략 수립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런 시대의 마케터는 시장의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면 굉장한 경쟁력을 갖게 되는 것이 아닐까.
마케터로서 이와 같은 데이터를 통한 인사이트 얻기 위해 그로스마케팅 수업을 듣고자 한다. 수많은 데이터 안에서 인사이트를 뽑아내고, 그것을 바탕으로 전략을 수립하여 판매와 이윤창출로 잇는 과정에서 유의미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얻고자 한다.
숙달된 요리사는 조리도구를 잘 다루고, 재료에 대해 잘 알고 있다. 마케터도 마찬가지라는 생각이 든다. 너무나 많은 데이터를 가지고 유의미한 인사이트를 만들어내는 것은 마치 요리와 닮았다. 데이터라는 재료는 뚝딱 인사이트 요리로 만들어지지 않는다. 재료 손질, 다듬기, 칼질, 볶기, 플레이팅까지, 다양한 도구를 이용해 재료를 가공하고 분류하고 시각화해야한다.
개인적인 성향으로는 이런 도구를 익히는 과정을 지루하게 느낄 수 있다는 것을 안다. 그러나 데이터 재료로 멋드러진 인사이트를 요리해내고 싶다는 초심의 목표를 언제나 기억하며, 도구를 숙련하는 과정에서도 최선의 열심을 다해보고자 한다.
'Growth Marke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All about 그로스 마케팅📈 (2) 2021.10.05 LUSH의 브랜드 포지셔닝 강화하기_4P와 Value Proposition (1) 2021.09.30 목표 고객 파악하기_(2) 사용자 여정 지도 (User Journey Map), Lush를 통해 이해하기 (0) 2021.09.29 목표 고객 파악하기_(1) 목표 고객의 Persona, Lush를 통해 이해하기 (0) 2021.09.29 [코드스테이츠 GMB 5기] 마케팅 비즈니스 구조 / SWOT, STP (0) 2021.09.28